단장(斷腸) 단장(斷腸) 진(晉)나라 환온(桓溫)이 촉(蜀)을 정벌하기 위해 여러 척의 배에 군사를 싣고 가는 도중 양쯔강 중류의 협곡인 삼협(三峽)이라는 곳을 지나게 되었다. 이곳은 쓰촨과 후베이의 경계를 이루는 곳으로 그 지형이 험하기로 유명한 곳이다. 이곳에서 한 병사가 새끼원숭이 한 마리.. 고사성어, 사자성어 2013.08.28
先發制人, 後發制於人(선발제인, 후발제어인) 先發制人, 後發制於人 선발제인, 후발제어인 선수를 치면 남을 제압할 수 있고 후수를 치면 남에게 제압당한다 진나라 시황제가 세상을 떠난 후 항랑과 항우 두 사람은 회계군에서 반군을 일으켰는데, 그때 그 두 사람이 한 말이 표제의 구절이다. [사기]에는 회계군의 태수가 한 말이라.. 고사성어, 사자성어 2013.08.19
와우각상쟁 [蝸牛角上爭] 와우각상쟁 [蝸牛角上爭] 蝸 : 달팽이 와 / 牛 : 소 우 / 角 : 뿔 각 / 上 : 위 상 / 爭 : 다툴 쟁 사소항 일로 싸우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와우는 달팽이 달팽이 뿔위에서 싸우고 있다는 것이니 시시하고 째째하다. 고사성어, 사자성어 2013.08.16
중국인 명언100선 1. 人不當頭, 木不當軸(인불당두,목불당축) 사람은 머리가 되지 말고 나무는 기둥이 되지 말라는 뜻이다. 중국인의 중용지도로 괜히 총대매고 앞장서지 말라는 의미이다. 2. 人怕出名, 猪怕壯(인파출명,주파장) 사람은 이름나기를 두려워하고 돼지는 살이 찌기를 두려워한다는 뜻.. 고사성어, 사자성어 2013.08.12
용도천문, 호와봉궐(龍跳天門, 虎臥鳳闕) 용도천문, 호와봉궐(龍跳天門, 虎臥鳳闕) 【용어설명】 서예의 필력이 씩씩하고 굳세며, 기세가 웅장하고 큰 것을 형용한다. 이를 ‘용도천문, 호와봉각(龍跳天門, 虎臥鳳閣)’, ‘용도호와(龍跳虎臥)’, ‘용반호와(龍蟠虎臥)’, ‘용유천표, 호거계방(龍遊天表, 虎距溪旁)’이라고도 한.. 고사성어, 사자성어 2013.08.10
대부유명, 소부유근(大富由命, 小富由勤) 대부유명, 소부유근(大富由命, 小富由勤) 작은 재산은 노력에 달려 있고 큰 재산은 운명에 달려 있다. 고사성어, 사자성어 2013.08.10
不上高山, 不顯平地[불상고산, 불현평지] 不上高山, 不顯平地[불상고산, 불현평지] 높은 산에 오르지 않으면 평지가 눈에 보이지 않는다. 종합적 사고의 권장이다. 즉, 어떤 일을 처리할 때는 반드시 여러 측면에서 전체를 보아야 실수를 하지 않는다. 이익과 해로움을 포함한 종합젹 판단이 필요하다. 장자는 까치를 겨낭해 .. 고사성어, 사자성어 2013.08.07
백선효당선, 만악음위수(百善孝當先, 萬惡淫爲首) 백선효당선, 만악음위수(百善孝當先, 萬惡淫爲首) 백선의 으뜸은 효이고 만악의 으뜸은 음이다. 젊어서는 혈기 아직 자리잡지 못했으며 색(色欲)을 경계하고. 장년에 이르러서는 혈기가 바야흐로 강건하니 투(鬪, 鬪爭欲)를 경계하고 노년에 이르러서는 혈기 이미 쇠하였으니 득(得, 物慾.. 고사성어, 사자성어 2013.08.05
취상무모, 변사불뢰(嘴上無毛, 辨事不牢) 취상무모, 변사불뢰(嘴上無毛, 辨事不牢) 부리 취, 위 상, 없을 무, 털 모 분별할 변, 일 사, 아니 불, 굳을 뢰 노인일수록 하는 일이 야무지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고사성어, 사자성어 2013.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