去者日疏 (거자일소) 去者日疏 [갈 거, 놈 자, 날 일, 성길 소] 떠나간 사람은 날로 소원해진다는 뜻으로, 평소에는 친밀한 사이라도 죽어서 이 세상을 떠나면 점점 서로의 정이 멀어짐을 이르는 말. 출전은 <文選 雜詩> 고사성어, 사자성어 2014.07.19
천애지기天涯知己 멀리 떨어져 있지만 서로 알아주는 각별한 친구 그림 실력이 빼어났던 엄성은 홍대용을 비롯한 조선사신단의 모습을 그림으로 남겼다. ‘천애지기’ 홍대용(위 사진)은 단정한 용모의 선비로 묘사됐다. 홍대용 아래로 사신단의 정사 이훤, 부사 김선행의 모습이 보인다. 동아일보DB·이철희 연구원 제공 조선의 홍대용(1731∼1783)과 중국.. 고사성어, 사자성어 2014.05.21
횡거철피(橫渠撤皮) 물러날 때를 알면 위태롭지 않을지니... 횡거철피(橫渠撤皮)’라는 중국 고사가 있다. 장횡거(張橫渠·1020∼1077)는 송나라 때 높은 학식과 명강연으로 이름을 날린 학자다. 어느 저녁 정씨 성을 가진 젊은 형제가 그를 찾아왔다. 이들은 함께 유교 경전인 주역을 논했다. 다음 날 장횡거는 강의할 때 깔고 앉던 호랑이 모피를 거.. 고사성어, 사자성어 2013.11.21
酷薄成家, 理無久享(혹박성가 이무구향) 酷薄成家, 理無久享(혹박성가 이무구향) 사람을 가혹하고 각박하게 대하면 행복을 오래 유지할 수 없다. 남을 어렵게 만드는 것은 스스로 무덤을 파는 것과 같다. 사람은 사회를 이루고 생활하는 동물. 서로서로 이롭게 하면 그 대가는 반드시 돌아오는 법. 그대가 배려한다면 배려로 돌.. 고사성어, 사자성어 2013.11.08
赤子之心 적자지심 赤子之心 적자지심 大人者 不失其赤子之心者也 대인자 부실기적자지심자야니라. 대인이란 어린아이의 마음을 잃지 않은 사람이다. 태어난 그대로의 깨끗하고 거짓없는 마음 《孟子(맹자)》의<離婁章句下(이루장구하)>에는 "대인이란 그의 어린 아이 때의 마음을 잃지 않은 사람이다".. 고사성어, 사자성어 2013.11.05
人生八味(인생팔미) 인생을 제대로 사는 사람은 인생의 맛을 안다고 합니다. 맛이 음식에서만 느껴지는 것은 아닙니다. 인생에도 맛이 있습니다. 인생의 참맛을 아는 사람은 인생의 즐거움을 누리는 사람입니다. 人生八味(인생팔미) 1. 飮食之味(음식지미): 살기 위해서 음식을 몸속에 넣는 게 아니라 음식이 .. 고사성어, 사자성어 2013.10.29
인이무신, 부지기가야(人而無信, 不知其可也)!’ <논어(論語)>에서는 개인의 가장 중요한 가치를 신뢰라고 강조한다. ‘인이무신, 부지기가야(人而無信, 不知其可也)!’ 한 인간이 신뢰가 없다면 그 인간의 어떤 장점도 높이 평가할 수 없다! 신뢰가 없다면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지식도, 지위도, 품격도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신뢰.. 고사성어, 사자성어 2013.10.24
나아갈 때와 물러날 때...위태로운 판에는 아예 끼지 마라 인생을 살면서 나아가고(進) 물러나며(退), 나타나고(見) 숨는(隱) 것은 중요한 선택이다. 진퇴(進退)와 현은(見隱)의 선택을 잘못하면 패가망신(敗家亡身)할 수도 있고, 인생에 오점을 남길 수도 있다. 세상에 도(道)가 있으면 나아가 나의 꿈과 능력을 발휘하지만 세상이 혼란하여 도가 없.. 고사성어, 사자성어 2013.10.24